환자중심 의료서비스

몸과 마음이 편안한 수원한국병원  
대표번호
031-245-2201
  • 트위터
  • 페이스북
  • 프린터
CMS Skin

운동치료 치료대상자

평가방법

관절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ROM: Range of Motion), 도수근력검사(MMT: Manual Muscle Test)를 통해 근력을 평가하며, 특히 뇌졸중을 비롯한 척수손상 환자의 근육의 긴장 정도(MAS: Modified Ashworth Scale)도 파악합니다. 또한 근육의 균형 감각이나 보행능력 등에 대한 평가도 시행합니다.

치료방법

중추신경계 발달치료(NDT), 보바스(Bobath), PNF 등의 교육 과정을 이수한 물리치료사가 환자분의 기능적 회복 정도에 따라 침상 및 매트에서의 운동, 기립 및 보행훈련 등을 시행하는데, 근육의 근력, 지구력, 협응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앉기와 서기에서 이동 및 보행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인 훈련을 실시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경사침대 (tilt table), 기립기 (standing frame), 평행봉(parallel bar)등의 기구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근력저하가 심한 근육의 경우 근육을 강화하고,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적 전기 자극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질환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가 기능적 장애를 동반하게 되며, 운동 기능의 회복은 대게 뇌졸중 발생 후 3개월에서 6개월 이내에 가장 빠르게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후에도 점진적으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치료사와 더불어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기능적 회복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GAIT

치료사와 1:1 맞춤 운동치료로 독립적으로 걷기에 부족한 근력을 증진 시키거나, 또는 걷기에 방해가 되는 높은 근긴장도와 같은 요소를 경감 시킵니다.

매트 및 침상치료

편마비, 하지마비, 사지마비,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이나 사지절단 환자 등 이동 동작에 제한이 있는 자에게 매트훈련, 이동훈련, 경사대(Tilting Table)훈련 및 휠체어 훈련을 위하여 서거나 보행 전 단계에 매트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활동 훈련입니다.

안정된 자세에서 신체조절능력 증진을 통하여 근력 및 기능적 관절 가동범위를 점진적으로 향상 시키고 체간과 골반 주변의 안정성 및 신체균형 조정능력을 촉진시켜 돌아눕기, 일어나 앉기, 균형 잡기, 일어서기, 이동운동 등을 시행합니다.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 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 (FES :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근육의 위축과 경직을 예방하고, 근력을 강화시켜 견관절 아탈구를 방지하고, 상지 기능을 촉진시킵니다. 또한 보행 시 발이 바닥에 끌리는 것을 방지하여 걸음걸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근육을 기능적으로 수축하게 하여 근육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습니다.

기구운동 치료 Tilting Table 상 하지 운동기구

1) 기립훈련 서있는 동작을 미리 훈련하여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며 중력에 대항하는 훈련을 합니다.

2) 기구를 통한 근력강화 운동 치료사의 지도하에 보행에 필요한 하지 근육을 집중적으로 강화훈련을 합니다.